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독도18

”독도“ 에 대해 우리가 알아야할 사실들! 11-2 11. 독도 수호를 위한 우리의 노력🏝️독도 주민들울릉도 주민 최종덕 씨는 1965년부터 독도에서 어로 활동을 하였다. 그는 1968년부터 독도에 건물을 짓고 상주하다 1981년 10월에는 주민등록을 옮 겨 1987년 사망할 때까지 독도에서 살았다. 최종덕 씨의 딸 최경숙 씨 부부도 1986년 7월부터 독도로 주소를 옮겨 어로 활동을 하며 1993년 8월까지 살았다. 제3대 독도 주민 김성도• 김신열 씨 부부는 1991년 11월 독도로 주민등록을 옮겨 독도에 살고 있다. 독도 서도에는 김성도 씨 부부와 울릉군 독도 관리사무소 직원 2명이 살고 있으며, 동도에는 독도경비대 30여 명과 등대 관리원 3명이 살고 있다.🏝️독도를 지키기 위한 활동독도를 지키는 활동은 민관의 구분 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부.. 2024. 10. 22.
”독도“ 에 대해 우리가 알아야할 사실들! 11-1 11. 독도 수호를 위한 우리의 노력🏝️울릉도•독도 학술조사단1945년 8월 광복과 더불어 독도는 자연히 우리나라 영토로 반환되었다. 그러나 연합국과 일본 간의 강화 조약 준비 과정에서 독도의 영유권에 관한 논의가 진행되자, 한국 과도 정부는 독도에 조사단을 파견하여 정부의 확고한 독도 영유 의식을 보여 주었다. 당시 파견된 울릉도•독도 학술조사단은 과도 정부의 수색위원회가 중심이 되어 학자, 언론인, 공무원, 산악인, 사진 사, 무전기사 등 총 72명으로 구성된 대규모 조사단이었다.학술조사단은 1947년 8월 20일 울릉도를 출발하여 독도에 상륙한 후 동도에 푯말을 세우고 조사 활동을 벌인 후 저녁에 울릉도로 귀항했다. 이어 21일부터 25일까지 울릉도를 조사했다. 이들의 활동 상황은 신문을 통해 곧.. 2024. 10. 21.
”독도“ 에 대해 우리가 알아야할 사실들! 10 10. 독도와 한일 관계🏝️일본의'다케시마의 날 제정2005년 3월 16일 시마네 현 의회는 ’ 다케시마(竹島)의 날을 정하는 조례'를 가결했다. 1905년 시마네 현 지사가 일본이 독도를 편입한 사실을 고시한 날인 2월 22일을 ‘다케시마의 날'로 정한 것이다. 2005년은 독도가 일본 영토에 강제로 편입된 날로부터 100년이 되는 해인데, 이 해에 ‘다케시마의 날'을 제정한 것은 현 의회 의원들의 역사 인식의 부재를 말해 주는 것이다. 시마네 현 의회가 '다케시마의 날'을 제정하자 이에 대응하여 2005년 7월에 경상북도 의회가 10월을 독도의 달로 하는 조례를 공포하였다. 지리적 인접성으로 인해 활발하게 교류하던 경상북도와 시마네 현은 시마네 현의 '다케시마의 날' 조례 제정 이후 교류가 단절되.. 2024. 10. 20.
”독도“ 에 대해 우리가 알아야할 사실들! 9 9. 독도의 가치🏝️동해의 해양 자원독도가 있는 동해의 미래 자원으로는 가스 하이드레이트(Gas Hydrate)가 있다.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메탄이 주성분인 천연가스가 얼음에 둘러싸여 고체로 변화한 것으로 수심 300m 이상의 해저에서 주로 발견된다.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일명 메탄 수화물, 메탄 하이드 레이트, 불붙는 얼음, 고체 천연가스라고도 부른다.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다른 연료보다 공해가 적어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2005년 6월 울릉도 남쪽 100km 떨어진 곳에 6억 톤 정도의 가스 하이드레이트가 매장되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국내 가스 소비량의 30년 분량이고 연간 약 10조 원 상당의 가치로 추산된다. 그러나 바다 깊은 곳에서 만들어지는 물질이라 채취가 어.. 2024. 10. 19.
”독도“ 에 대해 우리가 알아야할 사실들! 8 8. 동해 표기🏝️동해 표기 문제동해는 우리 민족이 2,000년 이상 사용해 온 지명이다. 이러한 사실은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동명왕 조(기원전 37년)와 광개토대왕릉비의 비문(414년), "신 증동국여지승람"에 수록된 ‘팔도총도', “여지도" (18세기말)에 수록된 ‘아국총도' 등 다수의 고문헌과 고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19세기말까지 일본은 지도에 동해 해역을 조선해, 일본해 등으로 표기했고, 서양에서는 중국해, 만주해, 동양 해, 동해, 대한민국해, 일본해, 타타르 해 등 다양하게 표기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과 20세기에 걸친 일본의 제국주의적 팽창으로 인해 국제 사회에서는 '일본해(Sea of Japan)’가 점차 많이 사용되었다.특히, 1929년 국제수로기구(IHO)가 발간한 "해양과 .. 2024. 10. 18.
”독도“ 에 대해 우리가 알아야할 사실들! 7-3 🏝️1965년과 1998년 한일 어업 협정1952년 1월 평화선 선포 후 1965년 6월에 한일 어업 협정이 체결될 때까 지 평화선 침범으로 인해 나포된 일본 어선은 총 326척, 억류된 선원은 3,094명이었다. 한일 어업 협정은 1952년 2월 제1차 한일 어업 협정 회담을 시작한 이래 14년 만에 도쿄에서 체결되었다(1965년 6월 22일).한일 어업 협정의 주요 내용은 한일 양국이 각각 자국 연안으로부터 12해 리의 어업 전관 수역을 설정하고, 전관 수역을 벗어나서는 기국주의 가 적용되는 공동 규제 수역으로 하여, 그 수역에서 각각 자국 어선에 대한 단속 및 재판 관할권을 행사하도록 한 것이다. 이 협정은 5년마다 자동 갱신되고 종료 선언일로부터 1년 후 종료하도록 되어 있었다.전통적으로 영해와.. 2024. 10. 17.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