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업 연도 소득
법인세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각 사업 연도의 소득 금액을 먼저 산출해야 합니다.
이 소득 금액은 순자산 증가설과 권리 의무 확정주의를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1) 순자산 증가설
법인의 순자산을 증가시키는 수익은 익금으로, 순자산을 감소시키는 비용은 손금으로 판단합니다.
따라서, 법인세 과세 대상 소득은 익금에서 손금을 차감한 순자산의 순증가 금액으로 결정됩니다.
순자산 = 총 자산 - 총부채
2. 세무 조정
세무 조정은 기업 회계 기준의 당기순이익과 법인세법상의 소득 금액 차이를 조정하는 과정입니다.
기업 회계와 법인세법 간의 차이를 조정해 정확한 과세 표준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1) 세무 조정의 개념
기업 회계상 수익과 비용은 법인세법의 익금과 손금과 대부분 일치하지만, 일부 차이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당기순이익에 다음을 적용해 소득 금액을 조정합니다.
🔸익금 산입: 수익으로 처리되지 않았지만 법인세법상 익금으로 보는 금액 → 가산
🔸손금불산입: 비용으로 처리되었지만 법인세법상 손금이 아닌 금액 → 가산
🔸익금 불산입: 수익으로 처리되었지만 법인세법상 익금이 아닌 금액 → 차감
🔸손금 산입: 비용으로 처리되지 않았지만 법인세법상 손금으로 보는 금액 → 차감
(2) 세무 조정의 방법
🔺가산 조정
🔸익금 산입: 법인세법상 익금에 해당하는 금액을 소득 금액에 추가
🔸손금불산입: 법인세법상 손금으로 인정되지 않는 금액을 소득 금액에 추가
🔺차감 조정
🔸익금 불산입: 법인세법상 익금으로 인정되지 않는 금액을 소득 금액에서 차감
🔸손금 산입: 법인세법상 손금으로 인정되는 금액을 소득 금액에서 차감
(3) 결산 조정과 신고 조정
🔸결산 조정: 결산서상 비용으로 계상된 경우에만 손금으로 인정
🔸신고 조정: 결산서와 관계없이 세법상 익금 또는 손금으로 조정
3. 소득 처분의 유형
세무 조정으로 발생한 소득 금액이 사내에 유보되었는지, 사외로 유출되었는지에 따라 소득 처분이 이루어집니다.
🔸사외 유출: 법인 외부로 소득이 유출되어 귀속자가 명확한 경우
예: 배당, 상여, 기타 사외 유출
🔸사내 유보: 소득이 사외로 유출되지 않고 법인 내부에 남은 경우
🔸기타: 사외 유출이나 유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4. 법인세 계산 구조
법인세는 다음의 4단계를 거쳐 계산됩니다.
🔺1단계: 각 사업 연도 소득 계산
• 결산서상 당기순이익
• (+) 익금 산입, 손금불산입
• (-) 손금 산입, 익금 불산입
• (+) 기부금 한도 초과액
• (-) 이월된 지정 기부금
세무 조정으로 계산된 각 사업 연도 소득 금액
🔺2단계: 과세 표준 계산
• (-) 이월 결손금
• (-) 비과세 소득 및 소득 공제
과세 표준 = 각 사업 연도 소득 - 공제 금액
🔺3단계: 산출 세액 계산
• 과세 표준에 세율 적용
2억 원 이하: 10%, 2억 원 초과: 22%
🔺4단계: 자진 납부 세액 계산
• (-) 공제 및 감면 세액
• (+) 가산세
• (-) 기납부 세액
정리💬
▪️사업 연도 소득: 순자산 증가설을 기준으로 익금과 손금의 차이로 계산
▪️세무 조정: 당기순이익에 익금/손금의 산입과 불산입을 조정
▪️소득 처분: 사외 유출, 사내 유보, 기타로 구분
▪️법인세 계산 구조: 사업 연도 소득 → 과세 표준 → 산출 세액 → 자진 납부
이 과정을 통해 정확한 법인세 납부액이 결정됩니다.
#법인세 #사업연도소득 #세무조정 #법인세계산 #세무회계 #법인세신고 #기업회계 #법인세절세 #세금계산 #법인세법 #소득처분 #세금조정 #익금산입 #손금불산입 #익금불산입 #손금산입 #결산조정 #신고조정 #과세표준 #세액계산 #이월결손금 #비과세소득 #소득공제 #세율계산 #자진납부 #가산세 #기납부세액 #법인회계 #재무관리 #법인절세전략 #법인세무조정 #소득유형 #법인세율 #법인세부담 #세무처리 #기업세무 #회계원칙 #기업세금 #법인재무 #세금계획 #법인절세 #법인경영 #법인자금관리 #법인소득 #법인과세 #재무제표 #재무회계 #재무분석 #소득공제항목 #세무보고 #기업절세 #법인사업 #사업소득 #회계조정 #법인재무관리 #회계기준 #기업정책 #기업공시